역사 따라 철학여행
담당강사
이종석 (前 서대전여자고등학교 교사)
강좌소개
격변의 시대마다 등장했던 철학사상을 통해 현실적 삶에 필요한 지혜를 구한다.
교육내용
주 | 강의주제 | 강의내용 |
---|---|---|
1주 | 인문학과 철학의 이해 | -<오리엔테이션> 인문학, 철학이란 무엇인가?
-21c 인문학과 철학이 요청되는 이유? -동양 철학의 등장 배경 |
2주 | 유학의 이념과 공자 맹자의 사상 | -유학의 출발과 궁극적 이념, 현대적 의미
-공자의 인(仁), 예(禮), 충(忠), 서(恕)와 정명정치(正名政治) 사상 -맹자의 성선설과 왕도정치(王道政治) 사상, 중용론(中庸論) |
3주 | 제자백가(諸子百家)사상 | -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여러 학자와 학파 소개
-공자의 유학을 비판한 묵자의 겸애교리(兼愛交梨) -한비자 법가사상의 법(法), 세(勢), 술(術), 신상필벌(信賞必罰) 등 |
4주 | 노자 장자의 도가사상(道家思想) | -경쟁에 지친 현대인의 안식처, 노 장 사상
-노자 도덕경<도가도비상도~>, 무위자연(무위자여), 성선약수 -장자 왈 ‘여름 매미가 어찌 겨울을 알겠소’, 제물론(齊物論) 등 |
5주 | 송대(宋代)의 성리학(性理學) | -주자 성리학이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현대인에 주는 교훈
-이기론(理氣論): 우주론<우주론>, 소이연(所以然) 소당연(所當然) -심성론, 수양론: 심통성정, 미발심과 이발심, 격물치지(格物致知) |
6주 | 조선 성리학과 명대의 양명학(陽明學) | -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(四端七情論)
-양명학의 심즉리(心卽理): 심외무리 심외무물(心外無理 心外無物) -성리학과 양명학 비교,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대화를 통한 교훈 |
7주 | 불교 사상 | -불교 등장의 배경과 중도(中道)의 수행을 통한 깨달음
-연기설(緣起說), 사성제(四聖諦), 삼법인설(三法印設) 공(空)사상 -대승불교와 소승불교(小乘佛敎), 교종(敎宗)과 선종(禪宗) |
8주 | 한국 불교와 동양사상 총 정리 | -원효의 화쟁
-사상과 지눌과 의천의 통합 사상 -유교, 도교, 불교 사상의 단원별 핵심 정리와 현대적 의미 적용 -강의 소감문 작성 및 발표 |
9주 | 서양 사상의 등장과 고대 그리스 사상 | -신화적 세계관과 자연철학의 등장. 서양 사상의 두 기반
-소크라테스: 절대적 진리관, 무지의 자각, 지덕복합일설 -소피스트:상대적 진리관(인간은 만물의 척도), 정의는 강자의 이익 |
10주 | 플라톤 사상 | -이원론적 세계관 : 이데아(idea)의 세계와 현상계
-영혼 삼분설( 이성, 기개, 욕망)과 4주덕(지혜, 용기, 절제, 정의) -이상국가론, 정의론, 상기설 등 |
11주 |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| -일원론적 세계관: 에이도스(eidos)
-목적론적 세계관: 형상과 질료(4원인설), 행복론 -덕론 : ‘한 마리 제비가 날아왔다고 봄이 온 것은 아니다.’(중용) -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비교 |
12주 |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| -경험론: 감각적 경험을 통한 귀납적 방법으로 진리 인식
-베이컨(아는 것이 힘), 4대 우상론(偶像論) -홉스(성악설, 사회계약론, 자연상태, 리바이어던) -공리주의: 벤담(양적 공리주의), 밀(질적 공리주의) |
13주 | 대륙의 합리론 | -합리론(이성주의) : 감각 없이 이성만으로 진리 인식 가능(연역법)
-데카르트 : ‘나는 생각한다. 고로 존재한다.<방법적 회의> -스피노자 : ’자연이 곧 진리다‘<범신론(汎神論)> |
14주 | 독일의 관념론 | -관념론: 관념을 실재적인 것보다 우선으로 보는 입장.
-칸트: 선험적 종합적 인식론, 선 의지, 정언명령, 도덕 법칙 -헤겔: 변증법칙 세계관(정 반 합), ‘역사란 자유가 실현되는 과정 |
15주 | 현대 철학 | -현대철학: 헤겔철학에 대한 반동에서 생 철학, 실존주의로 발전
-쇼펜하우어 : 주정주의, 반이성 비합리주의, 염세적 세계관 -니체: 초인(超人ubermensch), 아모르파티, 영원회귀 사상 -사르뜨르: ‘실존이 본질에 앞선다.’ 키르케고르, 하이데거 등 |
16주 | 서양 사상 총 정리 | -서양 사상의 시대별 흐름을 요약 정리
-서양 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현실 생활의 적용 탐구 -강의 소감문 작성 및 발표 |
* 위의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수도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