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시를 살리는 문화관광
담당강사
정종건 (前 대전MBC TV제작부 부국장)
강좌소개
국내외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그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는 문화관광상품의 패러다임과 트렌드 변화 속에서 매력적인 상품을 개발하고 문화관관상품 기획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강좌이다.
교육내용
주 | 강의주제 | 강의내용 |
---|---|---|
1주 | 문화관광의 개념 및 특성 | -문화개념 및 특성 -문화관광의 개념 및 특성 -문화예술 관광객의 개념 및 특성 |
2주 | 문화관광상품 개념 | -문화관광상품 개념 -문화관광상품 특성 -문화관광상품 해설 |
3주 | 문화관광상품 개발 | -문화관광상품 개발의 의미 -정부의 문화관광상품 개발 사례 -문화관광상품 개발과정 |
4주 | 문화관광상품 개발 계획 과정의 이해 | -섬문화 관광상품 개발 계획 사례 -농촌문화 문화관광상품 개발 계획 사례 |
5주 | 문화관광상품 패러다임 변화와 성고 키워드 | -문화관광상품 패러다임 변화 -문화관광상품의 성공 키워드 |
6주 | 문화관광 인프라와 문화관광상품 | -지역정체성 및 랜드마크 -랜드마크를 통한 명소성/화제성 부각 -관광재생- 기존 자원 활용 |
7주 | 스토리텔링과 문화 관광상품 | -이야기의 연출(이야기는 생명이자 상품) -이미지 구축 -포토 스토리텔링 |
8주 | 감성콘텐츠와 문화관광상품 | -감성마케팅 활용(지금은 감성시대. 도시에 감성을 입히다) -감성콘텐츠 키워드(감동 마케팅, 감동 서비스) |
9주 | 문화와 문화관광 상품 | -문화관광의 개념 및 유형 -문화관광의 사례 -문화 관광프로그램 사례 |
10주 | 축제와 문화관광상품 | -문화관광 축제의 기능 및 효과 -문화관광 축제의 성공요인 |
11주 | 테마공간과 문화 관광상품 | -테마공간의 특성 및 유형 -테마파크의 사례 |
12주 |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| -건축물의 문화관광 자원화 -예술콘텐츠의 문화관광 자원화 -예술공간 자원화, 거리의 문화관광 자원화, 예술공연의 자원화 |
13주 |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| -지역 이야기의 문화관광 상품화 -이야기의 문화관광 코스화 -라이프스타일 관광 |
* 위의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수도 있습니다.